호텔경영론 (Hotel Management)

전공 입문 교과목으로 호텔산업 및 호텔기업의 특징, 조직구조와 업무, 경영형태 등을 학습하면서 전공 산업 분야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이해를 높이는 교과목

Hospitality경영론 (Understanding Terms for Hospitality Industry)

휴(休)·미(味)·락(樂) 서비스분야에 대한 개념과 경영의 특성 및 업무 등 산업 전반에 이해를 통해 각 산업과 부서의 업무를 파악하고, 경영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교과목

Hospitality산업 트렌드 (Hospitality Industry Trend)

Hospitality산업 종사원들이 반드시 숙지해야할 기초 용어들의 개념을 학습하고, 향후 전공교과목 수강 및 학습에 있어 활용할 수 있는 배경을 높이는 교과목임

Hospitality경영론 (Hospitality Management)

빠르게 변화하는 외부환경(PEST Environment)을 이해하고 호텔(휴), 외식(미), 이벤트(락)분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 요인들을 예측하여 Hospitality산업의 트렌드를 분석하는 교과목임

AI Hospitality OA기초 (Introduction to AI Hospitality OA)

서비스 분야 기업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 재학생들이 매출, 수익 등 기업 활동 관련 수치에 친숙해짐과 동시에 이를 OA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활용해봄으로써, 사회과학 학습 및 취업역량 강화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실무능력을 함양하고자 하는 실무형 교과목임

Hospitality회계원리 (Principle of Hospitality Accounting)

부기의 기본원리, 재무제표의 원리 및 재무제표의 구성항목인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과 관련된 내용을 학습한 후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교과목임

Hospitality마케팅 (Hospitality Marketing)

휴(休)·미(味)·락(樂) 서비스분야의 기본적인 마케팅 사고를 함양하기 위하여 이론과 사례 중심의 마케팅 환경과 전략을 학습하는 교과목임

연회기획실무 (Banquet Planning Practicum)

호텔기업의 시장 포지셔닝, 수익 극대화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연회부서의 조직특성, 연회 업무 흐름, 관련 직무와 함께 연회 행사 기획 및 실행에 있어 핵심요소를 학습하고 모의 연회 행사를 기획해보는 교과목임

주장관리실무 (Bar Management Practicum)

음료산업에서 요구되어지는 전문성 있는 음료제조 실무자 및 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음료 및 칵테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교과목임

지역환대상품론 (Understanding Local Hospitality Product)

지역 환대상품개발에 관한 대앙한 사례들을 분석하고, 지역관광자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환대상품들을 개발(발굴)하기 위한 조사 및 분석을 하는 교과목임

Hospitality소비자 행동론 (Hospitality Consumer Behaviour)

Hospitality소비자 행동론은 환대 및 관광 소비자를 포함한 소비자 행동의 이해를 바탕으로 최신 성공적으로 경영 활동을 펼친 기업의 사례 중심으로 연구하며 Hospitality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략을 어떻게 수립할 것인가에 관해 학습하는 교과목임

호텔객실운영실무 (Hotel Room Operation Practicum)

호텔기업의 객실상품 판매를 담당하는 객실부서의 특성, 조직, 판매기법 등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호텔리어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이론과 실무실습을 바탕으로 강의가 진행되는 교과목임 특히 객실부서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인 PMS의 실무실습을 통하여 기초 실무능력을 함양하고자 하는 실무형 교과목임

호텔식음료경영론 (Hotel Food and Beverage Management)

호텔식음료 분야 전반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실무적 접근 방법, 호텔식음료와 관련된 업종에서 종사하는 종사자 및 호텔관리자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자질, 호텔식음료의 특성을 이해하는 교과목임

Hospitality경영전략 (Hospitality Management Strategy)

치열한 경쟁과 급진적 환경변화 속에서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수립에 있어 필요한 기업 경영전략의 이론적 개념과 사례를 학습하는 교과목으로 휴(休)·미(味)·락(樂) 분야 기업을 중심으로 함

Hospitality마케팅 리서치 (Hospitality Marketing Research)

마케팅조사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 학습을 바탕으로 Hospitality 기업의 효율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는 교과목임

Hospitality회계실무 (Hospitality Accounting Practicum)

호텔업과 식음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원가회계, 관리회계 등 다양한 양방향 집단학습을 통해 소통을 강화하고 강의를 통해 회계실무를 학습한 후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교과목임

호텔수익경영 (Hotel Revenue Management)

호텔기업은 수요의 가변성, 고정된 생산능력으로 인해 매출극대화와 최적화가 성공적 기업 운영의 핵심이다. 본 교과목은 성공적인 호텔 운영을 위해 경영성과를 판단하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필요한 레비뉴 매니지먼트(Revenue Management) 관련 기초 이론을 학습하는 교과목임

음료개발실무 (Beverage development Practicum)

커피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토대로 스페셜티커피 시장의 이해와 생두의 품질, 커피의 향과 맛의 평가, 크리에이티브 커피실습, 고객 응대 등을 종합적으로 학습하는 교과목임

MICE산업론 (Principle of MICE Industry)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을 통해 활성화되고 있는 MICE분야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과목으로써 MICE산업 전반에 관한 이론 및 국내외 사례들을 알아보고, 관련 기관을 방문하여 현장실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교과목임

Hospitality빅데이터분석 (Big data Analysis in Hospitality Industry)

4차 산업혁명의 대표 통합기술인 빅데이터 개념을 이해하고 빅데이터 주요 처리단계인 수집, 저장, 가공, 분석, 시각화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서 학습하는 교과목임

Hospitality기획론 (Introduction to Hospitality Planning)

기획의 개념,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Hospitality상품 및 산업에서 요구하는 기획 안의 기초를 작성하고 분석하는 교과목임

Hospitality비즈니스법규 (Hospitality Business Law)

관광기본법, 관광진흥법, 국제회의육성에 관한 법률, 관광진흥개발기금법, 한국관광공사법 등에 있어 주요 내용을 사례 중심으로 학습하는 교과목임

Hospitality산업기업분석 (Hospitality Industrial Enterprise Analysis)

휴(休)·미(味)·락(樂) 서비스분야에서 유력 기업을 탐색하고, 공식 자료 분석을 통해 학부 교과 학습 능력을 검증함과 동시에 자신에게 맞는 기업과 직무를 탐색하는 교과목임

빅데이터마케팅전략 (Big data Marketing Strategy)

시장을 분석하고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마케팅 프로세스에 있어 실제 서비스 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마케팅 사례를 학습하는 교과목으로 특히 시장 분석에 있어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함

호텔프로젝트 (Hotel Project)

호텔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 체계 정립 후 소집단 학습을 통해 실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교과목임

Hospitality조직행동론 (Hospitality Organizational Behavior)

조직 내 개인행동, 집단행동, 조직행동과정 연구를 통해 조직환경에서의 인간의 행동을 설명.예측하는 조직 내 인간행동에 대한 학문 영역인 조직행동론에 대한 기초 이론을 학습, 이해하는 교과목으로 휴(休)·미(味)·락(樂) 분야 기업을 중심으로 함

빅데이터비즈니스모델개발 (Big data Service Business Model)

휴(休)·미(味)·락(樂) 서비스분야에서 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의 개발을 통해 서비스업 분야의 경쟁력 강화와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교과목임